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의 횃불 2·28 민주운동

2025년

제65주년 2·28민주운동 기념식 기념사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2·28민주운동 유공자와 가족 여러분,
대구시민과 경북도민 그리고 자랑스러운 학생 여러분,
오늘 우리는 65년 전 대한민국의 봄을 향한 위대한 첫걸음이 시작된 이곳 대구에서 2·28민주운동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고자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의 고등학생들은 독재 정권의 부당한 통제와 일요 등교 지시에 맞서 거리로 나섰습니다. ‘학원의 자유를 보장하라’, ‘민주주의를 살리자’라는 외침은 대구시민들의 지지 속에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마침내 4.19혁명으로 이어져 민주주의의 봄을 가져왔습니다.
그날의 학생들은 단순히 학업에 머물지 않고 올바른 가치와 정의를 위해 행동하는 지성의 힘을 보여주었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2·28민주운동은 단순한 학생 운동이 아닌 대한민국의 헌법 정신을 수호하고 민주주의를 되살린 역사적 전환점이었습니다.
대구에서 시작된 이 위대한 움직임은 우리 사회가 정의와 자유를 위해 함께 나아가야 한다는 중요한 교훈을 남겼습니다. 정부는 2·28민주운동의 정신을 계승하며 모든 학생들이 보훈의 의미를 되새기고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꿈과 희망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또한, 민주 유공자를 포함한 국가 유공자분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이 오늘날 대한민국을 만든 원동력임을 기억하며 이를 미래세대에 전하기 위해 보훈 정책을 더욱 발전시키겠습니다.
국가보훈 기본법 제2조에는 대한민국의 오늘은 국가를 위해 희생하거나 공헌한 분들의 숭고한 정신으로 이룩된 것임을 기억하고 이를 토대로 국민 통합과 국가 발전을 이뤄야 한다고 국가보훈의 기본 이념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제6조와 제30조에는 모든 국민은 나라사랑정신 시책에 적극 협력해야 하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민간의 참여 여건을 조성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국가보훈 기본법을 토대로 일상 속 살아있는 보훈, 모두의 보훈을 비전으로 수립하고 정부와 국민이 함께 국가유공자의 공헌을 기리고 나라사랑정신을 이어가고 실천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65년 전 대구 학생들이 보여준 용기와 연대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큰 울림으로 다가옵니다. 이제는 우리가 그 뜻을 이어받아 서로를 배려하고 함께 나아가며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만들어갈 차례입니다. 끝으로 2·28민주운동 유공자와 대구시민 경북도민 그리고 자랑스러운 국민과 학생 여러분께 깊은 감사와 존경을 올립니다.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만들어가는 나라 사랑 이제는 우리 차례입니다.
고맙습니다.
국가보훈부 장관 강 정 애

제65주년 2·28민주운동 기념식 기념사
(곽대훈 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장)

1960년 3월 15일, 정․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자유당 정부는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부정행위를 저질렀습니다.
국내 어느 곳보다 시민들의 참정 의식이 높았던
이곳 대구도 예외일 수 없었습니다.
선거일이 다가오던 중 대구 수성천변에서는,
2월 28일 야당 후보의 선거유세가 예정되어 있었습니다.
자유당 정부는 대구에서 야당의 기세를 누르기 위해온갖 수단을 동원하고 있었고,
특히 민주주의를 배운 첫 세대인 학생들이
유세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일요일 등교 지시를 내렸습니다.
하지만 부당한 지시와 불의에,대구의 학생들은 침묵하지 않았습니다.
학생들은 “불합리를 묵인할 수 없다!”
“무엇인가 해야 한다.”라며 시위를 결행하기로 뜻을 모았고,
마침내, 2월 28일 오후 1시경
구호를 외치며 거리로 뛰어나갔습니다.
반월당을 지나 경북도청까지,
대구의 거리가 학생들의 외침으로 가득 찼습니다.
그날의 발걸음은 대전과 마산, 서울 등 전국으로 이어졌고
4·19혁명을 이루어낸 모두의 발걸음이 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걸어가야 할 여정의 시작,
그 첫걸음이 바로 대구의 학생들이었던 것입니다.
TOP
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
사업회소개 2·28민주운동 간행물&자료실 기념행사 참여2·28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