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의 횃불 2·28 민주운동

2·28민주운동이란

2.28민주운동이란

2·28민주운동은 이승만 독재정권의 부정과 부패가 극에 달한 상황에서
대구지역 고등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일어난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화 운동이었다.

2·28의 시대적 배경

1960년의 한국은 참담했다. 십 수년째 계속된 자유당 독재정권은 국민들의 삶을 마지막까지 몰아갔다. 발췌개헌과 사사오입개헌이라는 비민주적 개헌과정을 통해 장기집권을 위한 독재 권력을 강화한 자유당 정권은 1960년 3월 15일 실시될 예정이었던 제4대 대통령선거 및 제5대 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통령 후보 이승만, 부통령 후보 이기붕의 당선을 위해 모든 불법적인 수단을 총동원했다.

이승만을 대적할 유일한 대안으로 국민의 기대를 한 몸에 받던 야당 대통령 후보 조병옥이 선거를 한 달 앞둔 2월 15일 급서함으로써 이승만의 대통령 당선은 기정사실화 되었다. 이제 당시 86세 고령이었던 이승만 나이를 감안하면 대통령 유고시 권력승계자인 부통령에 이기붕을 당선시키는 것이 자유당 정권 최대의 과제로 떠올랐다. 그러나 강력한 야당 부통령 후보이자 현직 부통령이었던 장면으로 인해 자유당의 이기붕은 당선을 자신할 수 없었다. 대구는 1956년 정·부통령 선거에서 장면의 부통령 당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해 야도(野都)로서의 명성이 높았다. 따라서 2월 28일 예정된 장면의 대구 수성천변 유세에는 전국의 이목이 집중되었다.

2·28의 발단 – 민주주의를 위한 한 알의 불꽃!

2·28민주운동은 이런 배경 속에서 장면 박사의 유세장에 학생들이 참석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당국이 대구의 8개 공립 고등학교〔경북고, 경북사대부고, 경북여고, 대구고, 대구공고, 대구농고(현 대구농업마이스터고), 대구여고, 대구상고(현 대구상원고)〕에 일요일 등교 지시를 내린 것이 발단이 되었다. 일요일 등교의 명분은 조기 중간고사, 영화관람, 토끼사냥 등이었다.

학생들은 일요등교 방침이 알려진 직후부터 각 학교별 긴급회의 등을 열어 그 부당함을 지적하고 학교에 일요등교를 철회해 줄 것으로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2월 27일 오후 경북고 이대우 학생부위원장의 집에 경북고, 대구고, 경북대사대부속고 등의 학생들이 모여 부당한 일요등교에 항의하기 위한 시위를 조직하기로 하고 상호 연락망을 구축하고 결의문을 작성했다.

2월 28일 낮 12시 55분, 경북고 학생부위원장 이대우 등이 학교 조회단에 올라 전날 작성한 결의문을 낭독했다. "백만 학도여, 피가 있거든 우리의 신성한 권리를 위하여 서슴지 말고 일어서라. 학도들의 붉은 피가 지금 이 순간에도 뛰놀고 있으며, 정의에 배반되는 불의를 쳐부수기 위해 이 목숨 다할 때까지 투쟁하는 것이 우리의 기백이며, 정의감에 입각한 이성의 호소인 것이다."

결의문 낭독은 격앙되어 있던 학생들의 가슴에 불을 질렀다. 학생들은 자유당 정권의 불의와 부정을 규탄하며 일제히 궐기했고 교사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학교를 뛰쳐나왔다. 마침내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최초의 반독재 민주화 운동의 횃불이 타오른 것이다.

2·28의 전개 – 광야를 태운 들불

28일 오후 1시경 경북고생 800여 명이 대구 중심부인 반월당을 거쳐 경북도청으로 향했으며 교문돌파에 어려움을 겪던 대구고 학생들도 마침내 가두시위를 시작했다. 대구는 곧 불의를 규탄하고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학생들의 함성으로 뒤덮였다. 시위대는 인구가 밀집했던 중앙통 매일신문사를 거쳐 경북도청과 대구시청, 자유당 경북도당사, 경북도지사 관사 등을 돌며 자유당 정권의 불의를 규탄했다. 시민들은 경찰에게 구타당하는 학생들을 숨겨주고 시위대에 박수치며 동조했다.

곧 바로 시위에 합류할 수 없었던 경대사대부고와 대구상고 등의 학생들은 교내에서 단식농성에 돌입하거나 학교 담을 넘어 시위대에 합류했으며 수성천변 유세장으로 간 경북여고와 대구여고, 대구공고, 대구농고 등의 학생들도 산발적인 시위를 계속했다. 이 날 시위현장에서 약 220여명의 학생들이 경찰에 체포됐고 학생들이 경찰에 연행되면서 각 학교의 교사들도 모진 책임추궁을 받았다.

서슬 퍼런 자유당 정권 독재에 움츠렸던 대구지역 언론은 어린 고등학생들의 용기에 힘을 얻어 ‘2·28대구학생의거’를 대대적으로 보도함으로써 마산, 대전, 부산, 서울 등으로 학생시위를 확산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 그리하여 마침내 2·28의 함성은 3·15마산의거와 4·19혁명으로 이어졌고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에 큰 이정표를 세우게 되었다.

2·28의 역사적 의미 - 대한민국 민주운동의 출발

2·28은 단순히 일요일 강제 등교지시가 내려졌기 때문에 발생한 것만은 아니었다. 그것은 자유당 정권의 부정부패와 무능으로 국민들의 삶이 무너진 시대적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절박한 인식과 3·15선거를 앞두고 자행된 야당 부통령 후보의 유세를 방해하기 위해 내려진 일요일 등교라는 정권의 음모를 간파한 학생들의 분노에 기인한 것이었다. 가장 무섭고 어두운 밤, 새벽이 온다는 누군가의 외침은 소리는 작아도 울림은 큰 것이다. 가장 엄혹한 시기에 가장 먼저 민주주의를 외친 2·28의 함성은 전 대한민국을 덮었다. 2·28은 우리나라 민주화 운동의 뿌리로서 학생들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지지를 받으며 전국적으로 퍼져나간 민주주의 실천 운동이었다.

민주주의를 위해 첫 횃불을 들었던 2·28은 2018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으며, 2·28민주운동의 정신은 우리 사회의 시대적 요청인 상생·통합의 선진 민주주의 사회를 위한 정신적 자산으로 계승·발전 되어야 한다.
TOP
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
사업회소개 2·28민주운동 간행물&자료실 기념행사 참여2·28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