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예술의 관점에서 본 2·28민주운동" 주제로 「2·28민주포럼」 개최
2001년 처음 시작한 「2·28민주포럼」올해로 22회째 맞아,
문학과 예술의 분야로 관심 확장해 2·28민주운동의 정신과 의미 재조명
청년 참여 프로그램 마련해 참여 기회 제공, 청년들의 관심과 참여 활성화 기대
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회장 박영석)는 '문학과 예술의 관점에서 본 2·28민주운동'이라는 주제로 11월 9일 오후 1시 30분부터 2‧28민주운동기념회관에서 「2·28민주포럼」을개최했다. 「2·28민주포럼」은 2·28민주운동의 정신과 이념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민주시민의식을 함양해 수준 높은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해마다 개최하는 행사로 지난 2001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22회째를 맞이했다.
이번 「2·28민주포럼」은 2‧28민주운동을 좀 더 넓은 시각에서 조망하고자 문학과 예술 분야에 관심을 모아 62년 전 2·28민주운동이 전개되었을 당시의 기록물인 '2·28결의문'과 김윤식 시인의 시 '아직은 체념할 수 없는 까닭'을 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고, 김윤식 시인의 삶과 문학세계도 조망하였다. 또한 음악으로 2·28민주운동의 정신을 드러낸 '2·28행진곡'과 '4·19의 노래'에 담긴 대구정신도 분석하였다. 그리고 특별히 이번 「2·28민주포럼」에서는 청년들의 관심과 참여를 촉구하고자 청년 참여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청년 작곡가가 2·28민주운동을 기리기 위해 만든 창작곡 'February Rush(2월의 질주)'를 발표하고 당시 주역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노가바(노래가사 바꿔 부르기)로 부른 '유정천리'를 현대적 정서에 맞게 편곡해 발표하였다.
이번 「2·28민주포럼」을 계기로 2‧28민주운동에 대한 관심이 역사학적 관점이나 정치사회학적 관점을 넘어 문학과 예술 등 더 폭넓고 다양한 관점으로 확산될 것으로 기대되며, 청년들의 관심과 참여도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모두 3부로 구성된 이번 「2·28민주포럼」에서는 백승대 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 부회장의 사회로 3개의 학술 주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고, 청년 참여 프로그램으로 작곡 전공 학생의 창작곡 발표가 있었다. 학술 발표 내용은 "2‧28민주운동 결의문과 시 '아직은 체념할 수 없는 까닭' 깊이 읽기"(하청호, 대구문학관장),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화 운동 '2‧28민주운동'과 시인 김윤식 선생"(김약수, 경산학연구원장), "'2‧28행진곡'과 '4‧19의 노래'의 대구정신"(손태룡, 한국음악문헌학회 대표)이었며, 곡 발표는 "창작곡 'February Rush(2월의 질주)'와 '유정천리' 편곡"(안시후, 계명대 작곡전공 3학년)이었다. 이에 대해 이상삼 2‧28민주운동 유공자, 박승희 영남대학교 교수, 임훈 영남일보 기자, 손태룡 한국음악문헌학회 대표가 열띤 토론을 전개하였다. (끝)